경기뉴스광장 최옥분 기자 |광주시는 13일 '을사년 e-정책 소통'의 첫 순서로 '2025년 주요 시정 정책'을 발표하며 '희망찬 변화, 행복도시 광주'라는 비전을 내걸고 올해 주요 시정 정책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서 주목을 받은 분야는 크게 △지역경제 활성화 △교육·복지 확대 △도시 기반 시설 강화 △교통체계 개선 △도민 체전 준비 등이다. 방세환 광주시장은 "50만 자족도시 완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가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약속했다.
시는 우선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골목형 상점가를 5곳 추가 지정해, 전통시장뿐 아니라 생활형 상권에도 온기를 불어넣을 계획이다. 아울러 '지역경제 살리기 캠페인', '경제 활력 지원' 사업을 펼쳐 소비·고용 활성화를 이끌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소상공인 맞춤형 지원책으로 17억원 규모의 경영 자금을 투입해 안정적인 창업 및 사업 운영을 돕고, 총 83억원을 기업 역량 강화·환경 개선 등에 쓰겠다는 구상이다.
또한, 올해 예산의 44.4%에 달하는 5521억원을 교육·복지 분야에 배정한다. 이는 출산·양육 지원을 포함해 생애 주기별 지원 정책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시는 저출산 문제 해결과 함께 아동·청년·장년·노년층 모두가 소외되지 않는 복지체계를 마련한다는 목표다. "시민이 살기 편한 광주"를 지향하며, 임신·출산 지원부터 생활 밀착형 복지서비스까지 폭넓게 추진될 예정이다.
시는 '2040 광주시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권역별 특화를 추진하며, 특히 2030년 철도 시대를 대비한 광주역세권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철도 환승기능을 강화하는 동시에 쇼핑몰, 종합병원, 웨딩홀, 컨벤션센터 등 MICE(회의·관광·전시·이벤트) 산업을 육성해 일자리 창출과 인구 유입 효과를 노린다.
교통부문에서는 철도망 확충과 안성~구리 고속도로, 역동~양벌 간 도로 개통 등을 통해 출퇴근 교통혼잡 완화를 추진한다. 상습 정체 지역에는 신호체계 개선 및 가감차로 확장 등 다각적 대책을 마련해 시민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교통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오는 2026년 경기도 종합체육대회를 앞두고 종합운동장 주경기장과 국제 공인 실내수영장 등 주요 체육시설 공사를 연내 마무리할 예정이다. 총 8개 시설의 전 공정을 마치고, 추가 10개 시설은 정규 규격화 작업을 완료해 대규모 스포츠 대회 유치 경쟁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시민들의 건강증진 뿐만 아니라, 스포츠 산업 활성화도 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