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경기북부 개발 숙원' 해결 시동

  • 등록 2025.02.13 14:35:01
크게보기

 

경기뉴스광장 최옥분 기자 |경기도의회가 경기북부 지역의 미래 성장을 위한 여러 현안을 두고 본격적인 논의에 나섰다. AI산업 기반 확충과 경제자유구역 지정,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추진 등이 대표적인 사업으로 꼽히지만, 추진 과정에서 의원 간 견해차와 구체적 전략 부족이 드러나면서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함께 제기된다.

 

이영봉 의원은 지난 10일 정담회를 열고, '경기AI캠퍼스(북부)'가 의정부시에 들어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의정부는 GTX-C 노선 개통 예정을 비롯해 교통 인프라가 개선되고, 미군공여지를 활용할 수 있는 도시"라면서 "경기북부의 중심지라는 지역적 강점을 살려 인공지능(AI) 교육과 산업을 융합하는 최적의 거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경기도 AI산업육성과 관계자 역시 “의정부시를 포함해 4개 기초자치단체가 북부 AI캠퍼스 유치 의사를 밝힌 상황이라며, 오는 10월 개소를 목표로 외부 전문가 평가와 입지·인프라 종합분석을 거쳐 최종 후보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같은 날 별도 정담회를 통해 의정부시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경기도에 적극 요청했다.

 

이 의원은 "경기 북부지역은 중첩 규제로 인해 발전이 더뎠다"며 "의정부가 미군 공여지, 교통 요건 등을 활용하면 수도권 북부의 경제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용욱 의원도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활동 중 파주 교하동 일원(약 543만㎡)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의원은 "파주는 운정신도시 배후로 풍부한 인력과 교통 인프라가 이미 갖춰져 있으며, GTX-A 개통 등 추가 확충 계획도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경기남부에는 여러 경제자유구역이 운영 중이지만, 북부는 전무한 실정"이라며 "균형발전을 위해 파주가 경제자유구역에 포함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도의회가 운영하고 있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한 특별위원회도 12일 추진단으로부터 2025년도 업무보고를 받았다. 특별위원회 위원장 이한국 의원을 비롯해 다수 위원들은 "지역주도 공감대 확산과 법·제도적 기반 마련이 중요하다"며 추진단에 적극적인 노력을 주문했다.

 

특별위원회는 북부 지역의 열악한 인프라를 개선하고, 수도권 내에서 상대적으로 낙후된 접경지를 발전시키기 위해선 특별자치도 설치가 장기적이면서도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법률 제·개정과 주민투표 등 넘어야 할 관문이 많아 조속한 추진이 쉽지 않다는 인식도 공존한다.

 

그런 가운데 이석균 의원은 같은 날 열린 특별위원회 회의에서 "경기북부특별자치도추진단이 말뿐인 추진 의지와 추상적 계획만 내놓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6차례나 특별법 발의가 이뤄졌음에도 국회 상정조차 못 해본 것은 전략 부재가 원인"이라며, 추진단이 보다 직접적으로 국회의원을 설득하고 전국적 이슈화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경기북부 대개조라는 표현이 자칫 특별자치도 설치를 대체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고, 추진 동력을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명확한 로드맵 제시와 적극적 행동을 거듭 요구했다.

 

이처럼 의원마다 추진 전략이나 방향성에 차이가 있지만, 경기북부의 발전이 핵심과제라는 점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군사시설 보호구역 완화·경제자유구역 지정·특별자치도 설치·AI 기반 지식산업 육성 등은 지역 내 기반을 한층 강화할 수 있는 주요 수단으로 언급된다.

 

의원들은 "기존 규제나 재정·행정적 한계를 넘어야 한다는 점에서,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AI캠퍼스 유치 논의부터 경제자유구역 지정, 특별자치도 설치 구상까지, 경기도의회가 추진하고 있는 경기북부 개발정책은 이 지역의 산업생태계를 바꾸고,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큰 기회로 평가된다. 다만, 사업별로 제각각 제도·법적 한계가 있는 만큼, '추진 의지'와 '실행력'을 어떻게 결합하느냐가 성패를 가르는 관건이 될 전망이다.

 

 

최옥분 기자 ggplaza1130@naver.com
Copyright @경기뉴스광장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역골로 23-8, 102호 메일 : ggplaza1130@naver.com 등록번호: |아53596 | 등록일 : 2023-04-14 | 발행인 : 강성규 | 편집인 : 강성규 | 전화번호 : 010-5415-1120, fax 050-4341-1120 Copyright @경기뉴스광장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