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산업/경제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 공공구매 5천억 달성

 

경기뉴스광장 강성규 기자 |경기도는 지난해 사회적경제조직 공공구매 분야에서 5009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2023년 4641억원 대비 368억원 증가한 것으로, 도가 사회적경제 공공구매에서 5000억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회적경제조직 유형별로 살펴보면 △예비·인증 사회적기업 3594억 원 △사회적협동조합 1162억원 △자활기업 213억원 △마을기업 40억원의 실적이 집계됐다.

 

도는 2023년 ‘사회적경제 4대 비전’을 발표하고, 그중 ‘사회가치 구매 1조 원 시장 조성’ 목표 실현을 위해 2024년부터 ‘데이터 기반 구매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데이터 기반 구매혁신’이란 각 기관에 대한 단순 구매 독려를 넘어, 분야별 구매 실적, 구매처, 시기 등을 분석함으로써 공공이 구매 가능한 분야와 조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회적경제조직이 공공시장 공략을 통해 자생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도는 먼저 조달 데이터를 분석해 기관별 맞춤형 정보를 제작했다. 물품·용역·공사 등 구매 항목을 세분화하고, 품목별 사회적경제조직의 실적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이 사회적경제조직을 신뢰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했으며, 뉴스레터 방식으로 주요 분야별 정보를 쉽게 제공했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구매 분포와 시점을 파악했다. 공무원들이 활용하는 통합지방재정시스템의 구매자료를 분석해 사회적경제조직과 주요 거래하는 분야 및 유형별 거래 시기를 도출했다. 이를 바탕으로 기관별·부서별 맞춤형 구매 독려를 실시해 실적 확대를 유도했다.

 

이밖에도 기존 평가 설명 중심이던 설명회를 공공기관(수요처)과 사회적경제조직(공급처) 간 양방향 설명회로 개편하고, 민간위탁 사무에 사회적경제조직을 활용하는 전략과 나라장터 입찰 실무 교육 등을 제공했다. 이와 함께 경기사회적경제박람회를 통해 1:1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했다.

 

도는 ‘데이터’, ‘붐업’, ‘확장’을 2025 공공구매 3대 키워드로 정하고 구매혁신을 이어간다. 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구매를 독려하고, 시상금 및 표창으로 적극행정을 장려하며, 실적기관 확대를 통해 구매시장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공정식 도 사회혁신경제국장은 “공공서비스를 도민들에게 제공할 때,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사회적경제 육성의 핵심”이라면서 “특히 돌봄과 같은 분야에서 사회적경제조직을 통한 공공서비스 제공이 실적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뉴스랭킹

더보기


오피니언/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