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광장 강성규 기자 |고양시는 위기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한 전방위 주거복지 정책을 주거복지센터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지난 3년간 고시원, 쪽방 등에 거주 중인 236가구를 임대주택으로 이주시켜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했고 지난해는 50가구 목표치보다 106% 초과한 103가구의 이주를 지원했다.
시가 추진 중인 고양형 주거상향 지원 사업은 반지하, 고시원, 비닐하우스 등 비정상 거처에서 3개월 이상 거주한 시민을 공공임대주택으로 이주시켜 삶의 질을 높이는 대표 주거복지정책이다.
올해 상반기까지 총 46가구(반지하 21가구, 고시원 17가구, 가정폭력 피해 2가구 등)가 이주를 완료했고 연말까지 60가구 이상을 목표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이주 과정에서는 주거상향 코디네이터가 주택물색, 계약, 이주 전 과정을 동행 지원하고 이주비(최대 40만원)와 생필품(최대 70만원 상당)을 함께 제공한다.
시는 위기 상황에 처한 가구의 단기거주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고양희망더하기 주택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지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가정폭력, 강제퇴거, 화재, 침수 등 위기가구 15가구 임시주택 제공 및 LH와 협의를 통한 임대주택 4호를 확보해 최대 6개월까지 거주 가능한 단기임시거처를 마련했다.
주거취약계층에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찾아가는 주거복지 이동상담소를 운영하고 올 상반기 임대주택 입주상담, 주거환경개선, 임대차 분쟁 순으로 200건 이상 상담을 진행했다.
이동상담소는 관내 44개 동 행정복지센터, 구청, 사회복지기관, LH 고양권 주거복지지사, 한국부동산원 등과 연계해 이주 대상자 발굴, 법률 상담, 맞춤형 서비스 연계 등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올해는 청년 임대차 분쟁예방을 위한 특별상담소를 중부대학교 캠퍼스에서 운영해 행복주택·청년임대주택 안내와 계약유의사항 교육을 병행하여 호응을 얻었다.
시는 장애인, 고령자, 저소득 아동가구 등 주거 취약계층 대상으로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장애인 주택개조사업을 통해 도시근로자 평균소득 이하 가구에 개방형 싱크대, 안전손잡이 등을 설치한 가운데 올해는 총 8가구에 가구당 최대 38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동주거 빈곤가구 클린서비스로 반 지하, 옥탑방 등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아동가구에 청소와 생활물품지원 및 어르신 하우징사업을 통해 고령자 주택 내 미끄럼 방지, 안전바 설치 등 안전시설을 보강한다.
이와 함께 햇살하우징사업으로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에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난방, 전기설비 개선 지원 및 주택건설협회 경기도회 후원으로 매년 10가구에 도배, 장판, 싱크대 교체 등 실질적인 집수리를 진행 중이다.
생활 집수리 교실은 오는 9월부터 운영돼 시민 대상 기초 집수리 교육과 1인 가구, 여성가구를 위한 원데이 프로그램도 함께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