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광장 강성규 기자 |윤종영 경기도의원이 귀농귀촌 정책의 실효성 강화를 위해 현장 중심의 행보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단순한 지원을 넘어 안정적인 정착과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정책 후속조치를 이끌겠다는 의지다.
윤 의원은 5월 들어 연천 지역의 귀농귀촌 단체 및 농업 기업들과의 만남을 연이어 갖고 있다. 특히, 지난 12일에는 연천 지역 농업회사법인 연천양조㈜를 방문해, 율무·쌀을 활용한 전통주 생산 과정을 살펴보며 농업 6차 산업화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방문에서는 귀농창업 지원제도의 현실적인 한계, 행정절차의 복잡함, 정착 과정에서 마주하는 주거·교육·교통 등의 문제들이 다양하게 제기됐다.
윤 의원은 "지원정책이 서류와 행정 중심으로 운영되다 보니 정작 귀농귀촌 당사자들이 느끼는 불편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면서 "정책의 효과가 현장에 닿지 못하는 상황을 바꾸기 위해 근본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농촌소멸지역희망네트워크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귀농귀촌인의 지역 정착을 돕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이 단체는 귀농귀촌인과 선주민 간의 연대를 통한 갈등 해소와 공동체 역량 강화를 목표로 지난 4월10일 경기도로부터 비영리법인 설립 허가를 받은 바 있다.
간담회에서는 귀농귀촌인들이 초기 정착 단계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교육과 컨설팅의 확대, 선주민과의 소통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 공동체 기반의 정주 여건 조성 필요성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윤 의원은 "귀농귀촌 정책은 단순한 인구 유입을 넘어서, 이들이 지역사회에 안착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정책 수립에 있어 사후관리와 지속가능성이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실제 삶의 현장에서 들은 목소리를 정책 설계에 적극 반영하고, 관계 기관과 협의해 예산을 확보하고 후속 조치를 실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역소멸과 고령화라는 구조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귀농귀촌인의 유입과 안정적인 정착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지역 주민과 새롭게 이주한 귀농귀촌인이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건강한 농촌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