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광장 강성규 기자 |경기도교육청은 21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수행평가 현장 의견 수렴 토론회'를 열고, 학교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청취하며 평가 절차 전반의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첫 세션에서는 학생·교사·학부모 대표가 직접 발표자로 나서 평가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공유했다. 이어 충남대학교 김선 교수가 '학습 촉진형 수행평가' 설계 원칙을 제시했고, 함동철 장학관은 도교육청의 평가 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참석자들은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수행평가 일정을 분산하고, 평가 횟수와 반영 비율을 탄력적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교육 본질에 충실하면서도 실질적 학습 성과를 담보할 수 있는 평가 체계로 재구조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임 교육감은 "수행평가가 성장 중심 평가로 자리 잡기 위해선 학교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정책에 바로 반영해야 한다"면서 "단순 폐지가 아닌 제도 보완을 통해 학생 부담을 줄이고, 대입제도와의 연계를 통해 근본적인 교육 혁신을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창의력 신장은 기초 역량이 기반이 돼야 가능하다"며 "현재 대입 준비가 암기 위주 평가로 치우치는 문제를 바로잡는 것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도교육청은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과 온라인 설문 결과를 종합해 AI 시대에 맞춘 수행평가 재구조화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