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뉴스광장 강성규 기자 |고양시가 추진하고 있는 킨텍스 주변 숙박 인프라 확충 사업이 또 다시 제동에 걸렸다.
지난 27일 열린 고양시의회 제298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시가 추진 중인 공유재산관리계획(대화동 2600-7번지(S2부지) 매각) 관련 안건이 부결됐다. 이번이 다섯 번째 부결로, 숙박 인프라 확충과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 재원 확보는 다시 불투명해졌다.
S2부지는 2005년 킨텍스 건립 당시부터 숙박시설 건립을 목표로 조성된 핵심 부지다. 시는 해당 부지를 매각해 호텔을 유치하고, 매각 대금을 제3전시장 건립 분담금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었다.
현재 킨텍스 일대 숙박시설은 소노캄, 케이트리호텔 등 1248실에 불과하다. 내년 착공 예정인 앵커호텔 300실이 더해져도 1548실 수준이다. 킨텍스의 연간 방문객은 이미 580만 명을 넘어섰고, 제3전시장이 완공되면 연 10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는 상황에서 현재 시의 숙박시설은 턱 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2032년까지 필요한 객실 수는 약 4500실로 현재보다 3000실 이상이 더 확보돼야 한다.
시 관계자는 “숙박이 없으면 체류가 없고, 체류가 없으면 소비도 없다”면서 “숙박 인프라 확충은 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S2부지 매각은 정치적 선택이 아니라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필연적 결정”이라고 밝혔다.
시는 지금을 S2부지 매각의 최적기로 판단하고 있다. GTX-A 개통과 킨텍스 제3전시장 착공, 고양방송영상밸리·일산테크노밸리 조성 등 산업벨트의 성장 모멘텀이 집중돼 있고, K-컬처밸리 아레나 재추진, ‘고양콘’의 흥행으로 숙박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혜나 헐값 매각 등의 의혹에 대해 시는 사실과 다르다고 일축했다.
이번 부지 매각은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에 따라 일반입찰 방식으로 진행되며, 두 곳 이상의 감정평가 결과를 반영해 산술평균가 이하로는 매각할 수 없다. 특정 기업을 염두에 둔 특혜나 헐값 매각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착공 및 준공 기한 설정 등 사업을 지연하거나 용도 변경할 수 없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했다.
시 관계자는 “특혜나 헐값 매각은 제도적으로 차단돼 있으며 모든 절차는 투명하게 공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은 고양시가 수도권 서북부를 대표하는 국제 마이스(MICE)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사업이다. 시는 주주기관과 협의를 통해 분담금 납부 일정을 조정하고 있으나, 특별회계 적립금만으로는 매년 수 백 억원 규모의 분담금을 충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S2부지 매각은 시민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신속한 해법이라는 입장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