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광장 강성규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4일 국외에 거주 중인 독립유공자 후손 7명을 도담소에 초청해 감사를 표하며 독립운동 정신을 지켜내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날 초청한 해외 애국지사 후손은 연해주 한인사회의 대표적인 교육자 계봉우 선생의 손녀 계 다찌야나(75)와 외증손자 박유리(50), 증손녀 계 올가(32), 외 현손자 김 드미트리(25), 의열단원 이동화 선생의 외손녀 주 용용(68), 외 현손 며느리 손 추분(45), 김산의병의 참모장으로 의병의 구심점이었던 왕산 허위 선생의 손자 허 블라디슬라브(75) 씨로 이들은 각각 카자흐스탄, 중국, 키르기스스탄에서 거주 중이다.
국내에서도 김종진 선생의 손자인 김호동 광복회 경기지부장, 오희옥 지사의 아들인 김흥태씨, 안중근 의사의 외 현손녀인 최수아 어린이와 그 부친 최재황 씨가 참석했다.
김동연 지사는 “집으로 초대한다는 것은 특별한 환영과 진정성을 담은 것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좋겠다”면서 “저의 집에 오신 것을 환영한다”며 환영과 감사의 마음을 전달했다.
이어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 경기도가 역사 바로 세우기를 중앙정부나 어떤 지방정부보다 가장 앞장서서 하고 있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광복절 경축식에) 독립지사의 후손분들을 초청하고 오늘 정성을 모아 소찬이나마 식사를 모시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도가 경기도독립기념관을 만들겠다는 약속을 했고 독립운동가 80인을 선정해서 내일 광복절에 마지막 78, 79, 80번째 독립운동가를 공개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역사 바로 세우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왕산 허위 선생의 손자 허 블라디슬라브(75)씨는 “광복절은 어떤 기념일 행사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날”이라며 “우리 할아버지는 한국이 이렇게 나눠진 것에 대해 이해를 못할 것이며, 한국이 통일돼야 독립운동이 끝났다고 생각하실 것”이라고 말했다.
계봉우 선생의 손녀 계 다찌야나(75)씨는 “할아버지는 한국에 오고 싶었지만 많은 거절을 당했다. 시대 상황이 좋지 않았고 한국전쟁도 있었기 때문이다. 돌아가실 때까지 외국에 계실 수밖에 없었다”면서 “할아버지는 오지 못했지만 저희 후손들을 초청해 주셔서 매우 감사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이동화 선생의 외손녀 주 용용(68)씨는 “선조들의 피와 생명의 대가로 이 땅에서 성대한 광복 80주년을 하게 됐다”면서 “중국에 가장 가까운 사이면 집으로 초대한다는 얘기가 있다. 관저로 초대해주시니 저희를 가족처럼 생각해주시는 것 같아 감사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