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광장 강성규 기자 |파주시는 지난 24일 평화경제특구 시민 공감대 확산과 의견 수렴을 위해 ‘파주 평화경제특구 시민심포지엄’을 개최했다.
김경일 시장을 비롯해 시민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시민심포지엄은 ‘파주시 평화경제특구 조성 구체화 방안 마련 연구용역’ 총괄 책임인 이영성 서울대학교 교수의 발제를 시작으로, 이원빈 연세대학교 교수, 조성택 경기연구원 센터장, 홍진기 지역산업입지연구원 원장이 참여해 ‘파주 평화경제특구 발전 방향’을 주제로 토론을 이어갔다.
이영성 교수는 ‘평화경제특구 파주 유치를 위한 실행방안 및 향후 필요과제’를 주제로 한 발제를 통해 “파주에 평화경제특구를 약 350만 평 조성해 남북 협력이 재개된다면, 파주의 1인당 지역 내 총생산(GRDP)은 약 5000만원에서 약 1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대한민국 전체적으로는 이 효과의 두 배에 달하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발제 이후 펼쳐진 토론회에서 이원빈 교수는 “평화경제특구는 파주의 발전을 넘어 침체된 대한민국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있는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며 “지난 4월 추가 지정 후보지로 선정된 파주 경제자유구역과의 연계 상승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성택 경기연구원 센터장은 “평화경제특구는 단순한 산업단지를 넘어 경기북부가 한반도 평화경제지대로 도약하기 위한 출발점”이라면서 “평화경제특구 성공의 핵심 조건인 기업 유치를 위해 규제 합리화와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홍진기 지역산업입지연구원 원장은 “평화경제특구 조성과 함께 남북 협력이 본격화된다면, 경의축(서울~파주~개성~신의주)을 따라 억눌려 있던 파주의 성장 잠재력이 폭발적으로 발현될 것”이라며 “평화경제특구의 성공을 위해서는 남북 관계 경색 국면 발생시 대응 방안을 포함한 단계별 이행계획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파주시는 이번 심포지엄을 시작으로, 2025년 11월 ‘평화경제특구 유치 염원 시민 걷기대회’, 2026년 초 ‘평화경제특구 비전선포식’을 차례로 개최해 평화경제특구 유치를 위한 청사진을 제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