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뉴스광장 정일수 기자 |고양시가 경기둔화와 재정 여건 악화 속에서도 민생 안정과 미래 성장 기반 강화에 집중한 2026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21일 시의회에 제출했다. 내년 예산은 올해보다 813억원(2.43%) 늘어난 3조4218억원으로 일반회계 2조8738억원(증 642억원), 특별회계 5480억원(증 171억원) 규모다.
시는 마이스(MICE)·콘텐츠·드론 산업의 전략적 육성과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예산을 편성했다.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에 450억원, IP융·복합 콘텐츠 클러스터 조성에 48억원을 투입한다. 또한, 고양 산업진흥원 기업 스케일업 엑셀러레이팅 지원(9억원), 드론 UAM 박람회(7억원) 등 자족도시의 토대를 다지기 위한 지역 산업 다각화를 추진한다.
소상공인·중소기업 경쟁력과 자립 기반 강화를 위해 행신동 기업입주시설 건립(30억원), 소상공인·중소기업 특별 금융지원 출연금(37억원), 소상공인 시설개선(2억원), 고양 인쇄문화 허브센터 운영(4억원) 예산도 편성됐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통합 일자리센터 운영(12억원), 공공근로(20억원), 사회적기업 일자리(7억원)를 포함해 노인(419억원)·여성(34억원)·신중년(10억원) 일자리, 청년 행정 체험(6억원) 등 생애주기별 고용을 지원한다.
복지 분야에서는 기초연금 4551억원, 부모급여 732억원, 아동수당 663억원을 편성하고 출산 지원금 84억원, 첫 만남 이용권 129억원, 4~5세 무상보육 지원 11억원, 출산 가구 전월세 대출이자 지원 16억원을 편성해 출산·양육지원을 강화한다. 또한, 의료·돌봄 체계 강화를 위한 장애인종합복지센터 건립(50억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46억원), 달빛어린이병원·공공심야약국 지원(7억원), 응급의료센터 지원(13억원)으로 빈틈없는 복지를 지원한다.
재난·안전 분야에서는 강매·대화·장월 자연재해위험 개선 지구 정비사업(44억원), 관산 풍수해 생활권 종합 정비사업(22억원)으로 상습 침수 지역을 정비하고 거점형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60억원)과 스마트시티센터 운영(79억원)을 통해 도시 전반의 재난 대응 체계를 고도화한다.
교통·체육 인프라 확충에 나서 대장~홍대 광역철도사업(15억원),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기본구상 용역(7억원), 식사동~백석동 도로공사(40억원), 제5차 고양시 지방 대중교통계획(6억원), 라온길 정비사업(33억원)을, 관광문화단지 내 주차 전용 건물 조성에 59억원을 편성했다.
또한, 원흥·백석·탄현 체육센터 건립(105억원), 2027년 전국체전 대비 인공암벽장, 고양체육관, 성사 시립테니스장 리모델링(99억원) 예산을 투입한다.
교육 발전 특구 사업(20억원)과 온마을 행복학교 등 고양형 교육지원사업(25억원), 학교시설 환경개선(25억원)으로 미래 세대 교육 기반을 강화한다.
북한산성 세계유산 등재(10억원)와 공립박물관 설립 타당성 용역(1억원)도 반영하고, 세계 도시포럼(4억원)과 도시기본계획 수립(2억원), 원도심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6억원)을 편성해 중장기 도시 비전을 설계하고 도시의 과거와 미래를 잇는 도시관 건립 타당성 분석 용역(1억원)도 추진한다.
환경 분야에서는 전기차 구매지원(273억원), 미니 수소 도시 조성(8억원), 공립수목원 타당성 용역(3억원), 장기 미집행공원 토지 매입(27억원), 일산호수공원 경관조명 개선(5억원) 등을 편성했다.
한편, 2026년 예산안은 이달 12일 시작한 고양시의회 제2차 정례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중순 최종 확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