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광장 강성규 기자 |이상일 용인시장은 15일 시청 비전홀에서 2025년 청년(공공)인턴들과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이번 행사는 3월부터 10월까지 운영되고 있는 ‘청년(공공)인턴 사업’에 참여한 39명의 청년들을 격려하고, 공공근무 경험을 나누기 위해 마련됐다.
‘청년(공공)인턴 사업’은 지역 내 미취업 청년들에게 공공기관 근무 경험을 제공해 경력 형성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된 프로그램이다.
이 시장은 “짧지 않은 기간 동안 시정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직접 보고 느끼며, 공직자들이 시민을 위해 얼마나 다양한 일을 하고 있는지, 또 때로는 악성 민원이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묵묵히 최선을 다해 일하고 있다는 점을 체감했으리라 생각한다”면서 “3월부터 각자의 자리에서 성실히 근무해 준 여러분께 감사 인사를 드린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공모를 통해 접수된 체험수기 27건 중 근무태도와 출근율 등을 종합 평가해 선정된 △이예진(청년정책과, ‘머물지 말고 움직여라 : 나의 청년인턴 이야기’) △박민재(역북동, ‘역북동 청년인턴, 주민과 만드는 변화의 기록’) △안수연(풍덕천1동, ‘네 감사합니다! 풍덕천1동 안수연입니다’) 등 3명에게 시장 표창이 수여됐다. 수상자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담은 체험수기를 발표하며 참석자들과 소감을 나눴다.
이 시장은 이어 인턴들이 미리 적어둔 질문판에서 무작위로 질문을 뽑아 궁금했던 사항에 진솔하게 답변했다.
‘청년이 살기 좋은 도시는 어떤 모습인가’라는 질문에는 “청년들이 각자 설계한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야 한다”며 “좋은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져서 청년들의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어야 하고, 청년들이 희망하는 일자리를 얻는 데 필요한 교육과 지원 프로그램도 많이 마련돼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삶에 영향을 끼친 사건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중학교 2학년 때 하굣길에 길을 건너다 신호를 무시하고 질주한 차량에 치여서 다리와 손을 세차례 수술받았고 꽤 오랫동안 휠체어를 탔고 목발을 짚고 다닌 적이 있다”면서 “우리가 언제 어디서든 사고 등으로 장애를 가질 수 있다는 생각하면 장애인을 돕고 장애와 비장애의 벽을 허물기 위해 노력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그 생각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언론인·정치인·행정가로 활동하며 지켜온 공통된 기준으로 “성실함과 치밀함, 철저함”을 꼽았으며, 스포츠를 좋아하는지, 체력 관리나 스트레스 해소 방법, 어린 시절 장래희망, 하루 수면 시간 등 평소 생활 습관과 소소한 일상에 관한 질문에도 소탈하게 답하며 청년들과 편안하고 유쾌한 대화를 나눴다.
시는 청년 인턴들이 공공기관 근무를 통해 느낀 점과 제안을 담은 우수 체험 수기를 ‘용인청년포털 청년e랑’에 게시할 예정이다.